Case Study

셔클 플랫폼 도입으로
변화된 지역의 사례를 소개합니다

Case 1. 거점 중심 이동

양주시 옥정신도시,
지하철역까지 교통의 연결성을 높이다

지역 특성

• 대부분의 거주 지역에서 지하철까지 이동 수요가 발생하며
지역 안에서 이동 수요보다 출퇴근, 등하교에 이동 수요가 집중됩니다.
• 기존 3개의 버스 노선 운영으로는 중심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는 지하철역까지
긴 대기시간 및 비효율적인 환승으로 지속적인 이동 불만이 제기되었습니다.

효과

DRT 도입으로 총 통행시간을 51.5% 단축하여 이동 편의성 개선하였습니다.
시간대와 목적지가 집중되면서 자연스러운 합승 경로가 생성되어 운행 효율이 높습니다.

Case 2. 고연령 농촌

안산시 대부도,
고령층의 도보 이동을 80% 줄이다

지역 특성

• 대부도는 농촌 지역으로, 낮은 인구밀도와 높은 고령 인구 비율이 특징입니다.
• 노선버스 배차시간이 최소 20분에서 최대 120분까지 분포되어 있어 원하는 시간에 이동하기 불편하며,
특히 도보 통행시간이 길어 고령층의 대중교통 이용 불편을 가중하고 있습니다.

효과
도보 이동을 80.3% 단축하여 도보 접근성을 개선하였으며,
앱 호출뿐 아니라 전화 호출 서비스 도입으로 고령층도 자유롭게 DRT를 이용하고 있습니다.

Case 3. 다양한 이동수요 대응

세종시 1,2생활권,
다양하게 활용되는 일상 교통으로 자리잡다

지역 특성

• 인구밀도가 높고 연령대별 이동 패턴이 다양하여 기존 노선버스로 모든 수요에 대응하기 어려운 것이 특징입니다.

• 산발적으로 발생하는 다양한 이동 수요로 대중교통보다 자가용 선호가 매우 높아 승용차 수송 분담률 46.9%로 지역 내 교통체증이 심한 문제가 있습니다.

효과

도입 후, 자가용 이용 빈도를 42.1% 감소, 차외 통행시간을 70.3% 줄이면서 교통체증을 낮추고 접근성을 높였습니다.

Case 4. 긴급 교통문제 해결

경기도 김포시, 김포골드라인의 극심한 혼잡도를 완화시키다

지역 특성
• 16,000세대의 새 아파트 입주로, 서울 출퇴근 수요가 급증한 지역입니다.
• 김포골드라인 운행 중이었으나, 출근 시간 극심한 혼잡으로 인해 경기도에서 긴급하게 특별대책을 발표하고 70일 만에 DRT를 도입하였습니다.

효과
출퇴근 시간 노선DRT 도입으로 김포골드라인의 혼잡도 가 250%에서 200%까지 낮아졌으며, 집 앞 정류장에서 지정 좌석에 앉아 쾌적하게 출퇴근하여 이용자 만족도를 높였습니다. 시간대별 유연한 운행 방식으로 혼잡한 시간의 이용성과 여유로운 시간의 운영 효율화까지 높였습니다.

“일상 속 이동의 의미를 새롭게 조망하고, 스마트 기술과 접목한 교통의 변화가 어떤 가능성으로 확장해 갈지 미래를 위한 해법을 구하는 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”

Shucle Case Study Report VOL. 1